델파이기법의 정의, 방식, 한계에 대해서!
델파이 기법의 정의란?
간단하게 정리해서 각 분야의 전문가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종합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먼저 시나리오를 관련 전문가들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미래 환경의 최종적인 모습을 추궁하는 기법이다. 대표적인 정성적 분석 방식으로, 행정학, 정책학, 경제학, 경영학 등에서 실질적으로 쓰이고 있고, 고대 그리스 델포이 신전에서 이름의 유래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보통 시나리오를 반복적으로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답변하는 구조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정확한 분야에 맞는 전문가들을 추출하여 연구에 임하는게 중요하고, 사료는 반복될수록 심층적으로 발전하는 게 기본 원리이자 정의라 할 수 있다. 처음에는 경마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민간 조사 기구인 RAND에서 적용하게 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델파이기법의 방식?
구체적으로 전통적, 정책적, 의사결정의 델파이기법으로 종류가 나뉜다. 전통적은 일반델파이라고도 불리우며, 어떤 연구에 있어 수량적인 예측을 구체화하는 방식이다. 정책적은 전통적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 방식인데, 의사결정을 한다는 느낌보다는 이슈를 분석하고 의견을 개진한다는 식으로 전개되는 모습을 주로 보인다. 극단적인 견해도 존중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받아들여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의 델파이기법은 현재 발생하는 현실을 파악하여 분석하기보다는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여 발전해나가는 메커니즘이다.
델파이기법의 한계?
미래를 예측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델파이기법의 한계는 우선 질문지 자체에 결함이 존재할 수가 있다.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만 맞춰 주로 조사하기 때문에, 문제의 확실한 원인을 파악하는 일이 잘 선행되지 못할 때가 많다. 또한, 아무리 전문가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질문지의 회수율이 높지가 않다. 1차 2차 3차 4차 조사가 진행되면서 돌아오는 결과가 점점 낮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단기적인 횟수로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 기간이 장기화된다는 점이고, 그에 따라 문제와 해결 처리 결과를 직접적으로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없어 딜레이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현실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마냥 통계적으로 처리한 결과에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모습이 있다.
게다가, 전문가들이 참여 질문지에 임하는 마인드가 다 다르기 때문에, 설문에 대해서 신중하지 못할 수가 있다. 확실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아닌, 불확실한 상황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연구이기 때문에, 정성적인 분석으로 한계 점이 많다는 게 델파이기법의 흠이라 할 수 있다.
'전공지식 hood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테일법칙의 정의 및 사례(넷플릭스, 아마존), 파레토 법칙이란? (0) | 2020.05.14 |
---|---|
우아한형제들 CCO 한명수, 카카오 벤처스 정신아 대표님의 가치관 (0) | 2020.05.05 |
아웃백, 롯데 검은콩 우유 등 후발 브랜드 기업의 성공 (비교우위) (0) | 2020.05.04 |
세계 브랜드 순위, 브랜드에 대한 정의, 해석, 가치 (0) | 2020.04.30 |
균형성과표(BSC)의 정의, 요소, 관점, 프로세스!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