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테일 법칙의 정의
역 파레토 법칙이라고 불리는 이 법칙은 2004년 미국의 유명 전문 잡지사 중에 하나인 '와이어드'의 편집장이었던 크리스 앤더슨은 인터넷 플랫폼 업체에서 매출이 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특정 기업이 판매하는 상품들을 많이 팔리는 순서대로 나열해놓았을 때, 적게 팔리는 상품들은 공룡의 꼬리처럼 낮고 길게 연결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꼬리 같은 판매 모형은 많이 팔리는 즉, 인기 상품의 총판매량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 기업들의 판매는 20퍼센트의 인기(히트)상품이 아니라 나머지 80퍼센트의 틈새상품으로 성공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우리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대중적으로 제일 잘 팔리는 인기 상품을 구매하는 것보다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제품을 검색하고 찾아, 구매하는 상품의 판매량이 주류의 상품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이는 상위 20퍼센트의 주류 제품이 전체 매출액의 80퍼센트를 발생시킨다는 파레토 법칙에 위배되는 논리로, 역 파레토 법칙이라고 한다. 이전에 인기상품을 고객들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하여, 판매를 더 유도하거나 매출을 증대시키는 방법과는 다른 생각이다.
이와 같은 롱테일법칙이 발생하는 원인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공간과 관리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상품 개수만 수 천 개에서 수 만개에 이르기 때문에, 상품 관리에 대한 제한이 적어 판매하는 종류가 다양하고, 그로 인해 꼬리(비주류) 매출이 히트 상품을 추월할 가능성이 늘어나는 것이다. 보통 우리의 소비 형태만 보더라도 웹에서 인터넷 쇼핑을 할 때 사고자 했던 것만을 주로 검색하여 그 품목들 사이에서 고민하고 결정한다.
롱테일 법칙의 사례 (넷플릭스, 유튜브)
첫 번째 사례는 넷플릭스인데, 전 세계적으로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서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처음에는 DVD 대여 업체로 시작했지만, 큐레이션의 고객 맞춤형 기술을 통하여 현재는 엔터테인먼트의 공룡 기업이 되었다.
넷플릭스가 롱테일법칙의 대표적인 사례인 이유는 고객 성향에 맞춰 추천하는 시스템 때문이다. 현재 해당 플랫폼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80%가 추천 시스템으로 인한 콘텐츠이며, 주류의 인기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구조에서 매우 적다. 국내 경쟁 업체인 왓챠와는 다르게 정교한 OTT 서비스로 사용자들에게 매우 큰 만족을 안겨주고 있으며, 한 달 동안 무료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로 신규 가입자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집에서 생활하는 모습 때문에, 사업의 더 큰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 또한 매우 긍정적이라고 한다. 넷플릭스의 성공 비결은 롱테일 법칙의 가장 기본이 되는 빅데이터인데, 직원의 상당 인원이 과거 실리콘밸리의 고급 인력, 엔지니어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기본 시스템을 잘 구축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사례는 유튜브이다. 사례로 꼽히는 대표적인 이유는 위의 설명과 같이 추천 시스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보고 싶은 콘텐츠를 검색하면 우리의 성향이나 관심사를 파악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로직에 반영해 자연스럽게 우리에게 콘텐츠를 추천해준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시청하는 인기(주류) 동영상을 따라 보기보다는, 내가 원하는 관심사의 동영상을 시청하는 모습이 주로 보이면서 롱테일법칙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공통적으로 고객에게 맞는 콘텐츠와 상품을 추천하는 플랫폼(넷플릭스, 유투브)들이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점점 남들을 따라 하면서 인생을 즐기기보다는 나에게 맞는 콘텐츠를 즐기고 행복을 추구하는 모습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기반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교한 OTT 서비스를 구축하고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할 것이다.
파레토 법칙이란?
위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20대 80이라고 불리는 파레토법칙은 20퍼센트의 충성스러운 고객이 총매출의 80퍼센트를 책임진다는 것이다. 보통 넓은 의미로 상품 판매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에서도 20퍼센트의 구성원이 기업 내 업무와 성과 80퍼센트를 발생시킨다고 바라볼 수 있다.
보통 재고관리가 어려운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러한 법칙이 잘 적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계산하는 진열대 옆에 추가로 인기상품을 배치하면서, 자연스럽게 판매를 유도시키고, 주 상품의 매출액을 더욱 증대시킨다. 파레토 법칙은 품질경영 전문가 조셉 주란이라는 인물이 처음 경영학에 사용하였고, 경제적인 부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상위 20퍼센트의 부가 전 세계를 움직이고, 나머지 80퍼센트의 부의 합을 추월한다.
또 다른 사례로는 성과에서 20퍼센트의 집중력이 성과 80퍼센트를 발생시키고, 운동 선수 상위 20퍼센트가 전체 상금 80퍼센트를 가져간다 등등 파레토 법칙을 사회 곳곳에서 적용시킬 수 있다.
'전공지식 hood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파이기법의 정의, 방식, 한계에 대해서! (0) | 2020.05.12 |
---|---|
우아한형제들 CCO 한명수, 카카오 벤처스 정신아 대표님의 가치관 (0) | 2020.05.05 |
아웃백, 롯데 검은콩 우유 등 후발 브랜드 기업의 성공 (비교우위) (0) | 2020.05.04 |
세계 브랜드 순위, 브랜드에 대한 정의, 해석, 가치 (0) | 2020.04.30 |
균형성과표(BSC)의 정의, 요소, 관점, 프로세스!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