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성과표(BSC)의 정의, 요소, 관점, 프로세스!
전략경영도구라고 알려져 있는 '균형성과표'에 대한 전공 지식을 파헤쳐 본다. 균형성과표는 현재 코카콜라 등과 같은 세계 100대 기업 중 절반 이상이 활용하는 추세일 정도로 기업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크다.
그렇다면 균형성과표의 정의는 무엇일까?
균형성과표는 영어로 Balanced Scorecard, 줄여서 BSC라고 불린다. 쉽게 말해,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 내부와 외부에 핵심성공요인과 핵심성공지표를 계량화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하버드 대학교 카플란 교수와 노튼 박사가 기존의 재무제표 중심의 기업성과 측정방법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다른 용어로, HR 성과표의 모태라고 불리며, 균형성과지표, 균형성과 기록표, 균형성과관리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에서 측정 활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균형성과표의 관점은?
재무 관점,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 총 4가지로 나뉘게 된다. 구체적인 초점으로는 재무는 "주주에게 어떻게 보여야 하는 것인가", 고객은 "고객에게 어떻게 보여야 하는 것인가", 내부 프로세스는 "어떤 프로세스에 탁월해야 하는 것인가", 학습 및 성장은 "지속적으로 가치가 향상되고 있는가"로 맞추고 기업을 분석하고 탐구한다. 그 외에도 더 많은 관점으로 파악해볼 수 있지만, BSC는 주로 총 4가지의 주요 관점에 맞추고 있다.
마지막으로 균형성과표 프로세스는?
기업에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 조직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과거 비전과 전략을 체크해보는 과정으로 시작한다. 그 후, 핵심성공요인(CSF)을 파악하고, 달성을 위해 핵심 성과지표(KPI)를 도출하여 다양한 방법의 검증 절차를 거쳐 최종 KPI를 결정지으면서 BSC를 실행하고 정비한다. 쉽게 요약해서, BSC를 적용하는데 CSF와 KPI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이 되기 때문에, 연관관계와 프로세스를 철저하게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화적으로 CSF의 전사적 예시는, 지속적인 성장, 안정적인 수익구조, 제품구조 고도화, 마케팅 능력 강화, e-비즈니스와 ERP 추진, 조직역량 강화이고, KPI는 매출액, 세후 이익, 전략제품 포트폴리오, 시장점유율, 신규고객 확보, 전문가 육성, 사원 만족도 등과 같은 개념이다.
'전공지식 hood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테일법칙의 정의 및 사례(넷플릭스, 아마존), 파레토 법칙이란? (0) | 2020.05.14 |
---|---|
델파이기법의 정의, 방식, 한계에 대해서! (0) | 2020.05.12 |
우아한형제들 CCO 한명수, 카카오 벤처스 정신아 대표님의 가치관 (0) | 2020.05.05 |
아웃백, 롯데 검은콩 우유 등 후발 브랜드 기업의 성공 (비교우위) (0) | 2020.05.04 |
세계 브랜드 순위, 브랜드에 대한 정의, 해석, 가치 (0) | 2020.04.30 |